이란의 반정부 시위로 이란 지도부는 시위대의 활동을 억제하는 한편 일자리 창출을 약속하는 등 국민 생활을 배려하는 모습도 보이기 시작했다.최고 지도자 하메네이를 지탱하는 정예 군사 조직 혁명 방위대는 7일 시위 진압을 선언했지만 시위 참가자에게서는 1979년 이후 계속되는 이슬람 혁명 체제 자체에 대한 비판도 일면서 권위를 부정한 정권 측은 위기감을 강화하고 있는 모양이다.
시위는 지난해 12월 28일 북동부 마샤드에서 시작되는 전국에 확대.로이터 통신 등에 의하면 적어도 22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구속됐다.내무부는 시위 참가자 수를 약 4만 2000명이라고 밝혔다.당초는 물가 상승의 항의가 주류에서 보수 온건파 로하니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이 많았지만 서서히 하메네이를 정점으로 하는 이슬람 체제 타도를 호소하는 반체제 데모로 변모했다.
이란의 실업률이 최근 공식은 12%전후로 추이하고 있지만 젊은층에 한정하면 3할 가깝다고 한다.이번 시위를 받고 정부는 2019년 3월까지 90만명 이상의 일자리 창출 계획을 5일 발표.예정했던 연료비 인상에 대해서도 동결했다.
시위에는 고용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지방 도시의 젊은이를 중심으로 확대.조직 자금을 지닌 지도자는 부재했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를 통해서 참가자가 늘어났다.구미와의 대화 노선을 중시하고 경제 회생을 호소하고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로하니 대통령은 앞으로 어려운 정권 운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국내의 반미 강경파 세력은 미국이 시위를 선동했다라고의 견해를 공유하고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트위터에서 시위대를 지지 발언을 계속하고 있고 미국 이란 관계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